사비궁소식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소장 황인호)는 부여 부소산성(사적 제5호) 긴급발굴조사에서 백제~통일신라 시대 성벽, 와적기단(瓦積基壇) 건물지, 집수시설을 비롯하여 ‘을사년(乙巳年)’, ‘북사(北舍)’ 글씨가 새겨진 토기 등 중요유물을 확인하였다.
* 와적기단(瓦積基壇): 기와를 이용하여 건물 기단의 가장자리를 마무리한 것

부여 부소산성은 백제 사비도성의 배후산성과 왕궁성으로 추정되는 유적으로, 성의 둘레는 약 2,200m이다. 지난 1980년부터∼2002년까지 국립문화재연구소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연차 발굴조사를 진행하여 백제~조선 시대에 축조한 성벽, 백제 시대 수혈 건물지(땅을 파고 조성한 건물지)와 목책열, 조선시대 군창지 등을 확인한 바 있다.
* 목책(木柵) 시설: 구덩이를 파고 나무기둥을 줄지어 박아 서로 엮어서 만든 시설

이번 조사는 지난 7~8월, 부소산성 내에 너비 1m, 깊이 0.8m의 재난 방재 관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성벽, 건물지, 추정 집수시설 등 유구의 존재가 확인되어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긴급발굴을 하면서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부소산성 내 평탄지가 존재하는 군창지 구간, 사자루 구간, 궁녀사 구간 등에서 백제 시대 다양한 유구가 확인되었다. 군창지 구간에서는 백제 중요유적에서 주로 확인되는 와적기단을 갖추고 둥근 모양으로 잘 다듬은 초석(기둥을 받치는 돌)을 사용한 위계 높은 건물지가 발굴되었다. 사자루 구간에서는 백제~통일신라 시대 성벽, 굴립주 건물지, 사각(방형)의 초석을 사용한 건물지 등이 조사되었다. 궁녀사 구간에서는 집수시설이 확인되었다.
* 군창지: 군수물자 창고 유적지
* 사자루: 부소산성 서북쪽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누각
* 궁녀사: 부소산성 내 있는 사당으로 삼천궁녀를 기리는 곳으로 알려짐
* 굴립주 건물(掘立柱建物): 기둥 밑동을 땅속에 박아 세우는 건축 방식

특히, 궁녀사 구간 집수시설에서는 ‘乙巳年(을사년)’, ‘北舍(북사)’라는 글씨가 새겨진 토기, 중국제 자기, 칠기(漆器) 등 중요유물과 더불어 수백 점이 넘는 백제 사비기 토기가 함께 매몰되어 있었다. 출토된 백제 시대 토기는 완형에 가까운 기대(器臺), 보주형(寶珠形)뚜껑, 전달린토기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7세기 신라 병형토기도 출토되었다.
* 칠기(漆器): 나무 등을 재료로 하여 형태를 만든 다음 옻칠과 같은 검은 잿물을 입혀 만들 물건
* 기대(器臺): 바닥이 둥근 항아리와 같은 기물을 받치기 위해 제작된 그릇받침
* 전달린토기: 토기의 위쪽 가장자리가 조금 넓적하게 돌출되어 있는 토기

주요 출토 유물인 ‘乙巳年’ 명문 토기에는 ‘乙巳年三月十五日牟尸山菊作’(을사년삼월십오일모시산국작?)이라는 14자의 명문이 쓰여 있는데, 그 내용은 을사년 3월 15일 모시산 사람 국(菊)이 만들었다‘로 해석되어 토기의 제작연대(645년 추정), 제작지(예산, 덕산 추정), 제작자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같이 출토된 ‘北舍’명 토기는 백제 사비왕궁지구인 관북리 유적, 익산의 왕궁리 유적, 익산토성과 같이 왕실과 관련 있는 중요 유적에서 출토된 바 있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유구들은 부여 부소산성 내 백제∼통일신라 시대 성벽의 축조방식과 부소산성 내부공간의 활용방식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조사결과는 코로나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는 11일 오전 10시에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재연구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공개된다.
* 문화재청 유튜브 채널: http://www.youtube.com/user/chluvu
* 국립문화재연구소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UwAZiWBC9eVDFEQv--kBFQ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2021년부터 부소산성에 대한 중·장기 학술조사 계획을 수립하여 체계적인 발굴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조사 과정에서 도출되는 성과는 온·오프라인을 활용한 현장설명회를 진행하여 국민과 함께 공유할 계획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6 부여군, 백제시대 초석(礎石) 기증받아 이전사업 추진 file 사비사랑 2018.07.06 147
145 부여군, 지구상에서 제일 크고, 가장 아름다운 연꽃, 천화일화 연꽃! file 사비사랑 2018.07.06 122
144 부여군,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사업 우수권역 선정돼 사비사랑 2018.07.06 691
143 부여군, 조선시대 분묘유적 조사결과 도서로 발간 file 사비사랑 2018.07.06 100
142 부여서동연꽃축제, “세계 연꽃나라의 빛과 향” 가득 file 사비사랑 2018.07.06 148
141 부여 여흥민씨 고택에서 하룻밤 file 사비사랑 2018.07.06 180
140 부여군, 세계유산 정림사지 4차산업혁명으로 다시 태어난다 file 사비사랑 2018.07.06 160
139 만수산자연휴양림, 최고 여름휴양지로 인기몰이 file 사비사랑 2018.07.06 177
138 부여서동연꽃축제, 형형색색“연꽃등 띄우기 체험”눈길 file 사비사랑 2018.07.06 215
137 “세 번째 유홍준 교수 기증 유물전 - 나의 순백자 사랑” 부여서 열린다 file 사비사랑 2018.05.30 160
136 부여군, 추양리 전통마을숲 명품 소나무숲으로 정비 file 사비사랑 2018.05.30 280
135 부여 능안골 고분군에서 백제 귀족층 무덤과 매장행위 확인 file 사비사랑 2018.05.30 119
134 부여 세계유산 청소년 알리미 “앞으로 SNS에 세계유산을 알리고 싶어요” file 사비사랑 2018.05.30 124
133 부여군, 백제6대왕 숭모전 건립사업 착공 file 사비사랑 2018.05.30 175
132 부여서동연꽃축제, 꼭 봐야 할 6대 핵심 프로그램 곧 시작 file 사비사랑 2018.05.30 120
131 부여군, ‘부’자되는 ‘여’행 홍보 file 사비사랑 2018.05.30 164
130 부여군, 벽화로 부여를 러블리하게 file 사비사랑 2018.05.30 147
129 제4회 서동요 전국 창작동요 부르기 대회 작품 공모 file 사비사랑 2018.05.30 134
128 굿뜨래 웰빙마을 글램핑장 인기 폭발 file 사비사랑 2018.05.30 133
127 찬란했던 사비백제 왕궁 찾기 본격 시작 file 사비사랑 2018.05.30 150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0 Next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