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비궁소식

조회 수 1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현대의학이 발달한 오늘날에도 두드러기라 부르는 단(丹)을 잡기 위해 마을 사람들이 참여하는 ‘단잡기’ 행사가 열리는 곳이 있다. 바로 부여군 은산면 내지리다.

 

의학이 발달하면서 단잡기 행사가 거의 사라진 상태에서도 단을 잡고, 그 기쁨을 함께 나누는 마을행사로 승화시켜 꾸준히 행사를 치러왔던 내리지 마을주민들은 1995년 제36회 전국민속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면서 단잡기의 가치를 확인한 바 있다.

 

이후 보존과 계승의 뜻을 모아 해마다 음력 7월 7일 단잡기 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 13일에는 내지리단잡기 보유자 이규찬을 비롯한 김인환, 이규섭 전수조교 등 마을주민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내지리 단잡기 공개행사를 열었다.

 

단잡기 행사는 크게 단(丹)확인–오곡걸립(五穀乞粒), 단기(丹旗)제작 등 단잡기 준비–단잡기 진행–단보내기–뒤풀이 과정으로 진행된다.

 

단은 총 12가지 종류로 증상에 따라 풍단(風丹), 청단(靑丹), 황단(黃丹), 홍단(洪丹), 팥단, 태단(胎丹), 띠단, 녹두단(綠豆丹), 토단(土丹,) 메밀단, 백단(白丹), 도목광솔단(頭目廣率丹) 등 열두단으로 나뉜다.

 

이러한 단을 잡기 위해 쌀, 팥, 콩, 수수, 조 등 오곡을 준비하는데 환자의 상황에 따라 오곡은 달라지고, 환자의 이웃들이 각각 오곡을 충당하는데 이를 오곡걸립이라 한다. 오곡걸립을 하는 동안 당산관은 열두단 이름을 적은 깃발을 직접 제작한다.

 

단잡기는 당상관이 주도하여 지은 오곡밥을 단에게 먹인 뒤 열두단을 모두 잡는 것으로 잡귀가 다시는 살아 돌아오지 못하도록 불을 피우고 액풀이를 하는 단보내기로 이어진다. 단보내기를 한 후 모두 환자의 집으로 돌아와 환자를 축원하며 마당을 돌면서 신명나게 춤을 추는 뒤풀이로 끝이 난다.

 

현재 단잡기는 내지리단잡기보존회관 광장에 모여 단잡기의 과정을 보여주고 신명나게 놀이판을 벌이는 주민화합 행사로 진행된다. 2000년 내지리단잡기 공개행사 장면 (1).jpg

 

내지리단잡기 공개행사 장면 (2).jpg

 

충청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단잡기 행사의 원형을 보존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6 부여군, 123사비 공예주간 시작되다! 사비사랑 2023.05.17 5
165 부여군, '소부리 커뮤니티케어센터' 조성 추진나서 사비사랑 2023.03.26 13
164 부여군 제1회 세계유산 부여나성 걷기 개최 file 사비사랑 2019.03.14 141
163 부여군 정월대보름 맞이 전통 세시풍속 행사 성황 file 사비사랑 2019.02.25 231
162 부여군 자체개발 도시브랜드(BI) Lovely BUYEO file 사비사랑 2018.01.19 130
161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 무각본 소방훈련 실시 file 사비사랑 2018.05.30 116
160 부여군 세계유산 홍보대사 유홍준교수 초청 인문학콘서트 개최 file 사비사랑 2017.09.28 156
159 부여군 석성면, 제1회 석성연꽃밭잔치로 석성연지 명성 일깨워 사비사랑 2021.07.23 113
158 부여군 새해 다채로운 세시풍속 행사‘눈길’ file 사비사랑 2019.02.13 123
157 부여군 백제역사 구석구석 “명사와 함께” file 사비사랑 2019.04.05 191
156 부여군 농어촌, 시외버스 운행시간(공주역 경유) file 사비사랑 2015.11.26 694
155 부여군 남면 동절사·임천면 간곡서원 춘향제 성황 file 사비사랑 2019.04.05 181
154 부여군 ‘부여 세계유산 청소년 알리미’ 선발 file 사비사랑 2017.04.10 137
153 부여군 4대향교 대성전서 ‘추계 석전대제’ 제례 봉행 사비사랑 2018.09.12 126
152 부여군 (재)백제세계유산센터 맞춤형 투어버스 시범운영 file 사비사랑 2019.05.20 244
151 부여관북문화공간, 열린 문화공간으로 탈바꿈 file 사비사랑 2018.05.30 180
150 부여 화지산유적 산 중턱서 대규모 기와건물 계획단지 확인 사비사랑 2022.11.11 32
149 부여 홍산전통시장’ 상인의 무대이자 전시관 된다 사비사랑 2022.10.22 21
148 부여 향교마을 도시재생 주민어울림 한마당 성료 사비사랑 2022.10.18 25
147 부여 충청산업문화철도, 제5차 국토종합계획 최종 반영 사비사랑 2019.12.23 274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0 Next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