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물이나 감로수(甘露水)를 담는 병으로 부처님 앞에 바치는 공양구뿐 아니라 관음보살이 가지는 지물로서의 역할도 함께 하였다.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 정병은 가늘고 긴 목에 테두리가 둘러져 있고 넓은 어깨 부분에는 뚜껑이 있는 주둥이가 나와 있는 독특한 형태라고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주로 청동이나 점토로 만들어지나 금, 은을 사용하기도 한다.
유물번호 | 1423 |
---|---|
물질 | 토기류 |
소장경위 | 기증 |
소장년월일 | 2014-08-14 |
수량 | 1 |
깨끗한 물이나 감로수(甘露水)를 담는 병으로 부처님 앞에 바치는 공양구뿐 아니라 관음보살이 가지는 지물로서의 역할도 함께 하였다.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 정병은 가늘고 긴 목에 테두리가 둘러져 있고 넓은 어깨 부분에는 뚜껑이 있는 주둥이가 나와 있는 독특한 형태라고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주로 청동이나 점토로 만들어지나 금, 은을 사용하기도 한다.
번호 | 분류 | 제목 | 유물번호 | 물질 | 소장년월일 | 소장경위 |
---|---|---|---|---|---|---|
18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08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7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09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6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10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5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11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4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12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3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13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2 | 백제 |
장경호
![]() |
1414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1 | 백제 |
장경호
![]() |
1415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0 | 고려 |
기름병
![]() |
1416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9 | 고려 |
기름병
![]() |
1417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8 | 고려 |
기름병
![]() |
1418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7 | 조선 |
인화분청접시
![]() |
1419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6 | 조선 |
분청접시
![]() |
1420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 | 고려 |
토기편병
![]() |
1421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4 | 고려 |
토기편병
![]() |
1422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 고려 |
토제정병
![]() |
1423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2 | 고려 |
청자병
![]() |
1424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 | 조선 | 가례원류시남집목각판 원본 | 1425,1426 | 목재류 | 2006-03-07 | 기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