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청색 경질의 편병이다. 원형계통의 몸체 한쪽을 납작하게 찌그러뜨린 것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유적에서 이와 유사한 편병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정확한 제작자의 의도는 알 수 없지만 어떤 목적 하에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라 추정된다. 몸체의 표면에는 아무런 문양이 없으며 어깨와 몸체 상단에 횡선문을 돌렸다.
| 유물번호 | 1421 | 
|---|---|
| 물질 | 토기류 | 
| 소장경위 | 기증 | 
| 소장년월일 | 2014-08-14 | 
| 수량 | 1 | 
회청색 경질의 편병이다. 원형계통의 몸체 한쪽을 납작하게 찌그러뜨린 것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유적에서 이와 유사한 편병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정확한 제작자의 의도는 알 수 없지만 어떤 목적 하에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라 추정된다. 몸체의 표면에는 아무런 문양이 없으며 어깨와 몸체 상단에 횡선문을 돌렸다.
| 번호 | 분류 | 제목 | 유물번호 | 물질 | 소장년월일 | 소장경위 | 
|---|---|---|---|---|---|---|
| 578 | 조선 | 가례원류시남집목각판 원본 | 1425,1426 | 목재류 | 2006-03-07 | 기탁 | 
| 577 | 고려 | 청자병   | 1424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76 | 고려 | 토제정병   | 1423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75 | 고려 | 토기편병   | 1422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 | 고려 | 토기편병   | 1421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73 | 조선 | 분청접시   | 1420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72 | 조선 | 인화분청접시   | 1419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71 | 고려 | 기름병   | 1418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70 | 고려 | 기름병   | 1417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69 | 고려 | 기름병   | 1416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68 | 백제 | 장경호   | 1415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67 | 백제 | 장경호   | 1414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66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1413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65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1412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64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1411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63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1410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62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1409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61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1408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60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1407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559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1406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