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연부가 넓으며 바닥이 좁은 분청대점이다. 구연부의 내면에는 물레흔이 확인되고 바닥에는 국화문이 빽빽하게 돌려져 있다. 문양의 분장기법은 조선초기 분청사기의 제작방법이었던 인화기법이 활용되었다. 꽃 모양의 도장을 찍는다고 해서 인화(印花)라 하였다. 인화문의 소재는 국화가 대부분으로 15세기 중반에 많이 활용되었다.
유물번호 | 1419 |
---|---|
물질 | 토기류 |
소장경위 | 기증 |
소장년월일 | 2014-08-14 |
수량 | 1 |
구연부가 넓으며 바닥이 좁은 분청대점이다. 구연부의 내면에는 물레흔이 확인되고 바닥에는 국화문이 빽빽하게 돌려져 있다. 문양의 분장기법은 조선초기 분청사기의 제작방법이었던 인화기법이 활용되었다. 꽃 모양의 도장을 찍는다고 해서 인화(印花)라 하였다. 인화문의 소재는 국화가 대부분으로 15세기 중반에 많이 활용되었다.
번호 | 분류 | 제목 | 유물번호 | 물질 | 소장년월일 | 소장경위 |
---|---|---|---|---|---|---|
18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08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7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09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6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10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5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11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4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12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3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13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2 | 백제 |
장경호
![]() |
1414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1 | 백제 |
장경호
![]() |
1415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0 | 고려 |
기름병
![]() |
1416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9 | 고려 |
기름병
![]() |
1417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8 | 고려 |
기름병
![]() |
1418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 조선 |
인화분청접시
![]() |
1419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6 | 조선 |
분청접시
![]() |
1420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 | 고려 |
토기편병
![]() |
1421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4 | 고려 |
토기편병
![]() |
1422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3 | 고려 |
토제정병
![]() |
1423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2 | 고려 |
청자병
![]() |
1424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1 | 조선 | 가례원류시남집목각판 원본 | 1425,1426 | 목재류 | 2006-03-07 | 기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