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기는 진흙을 빚어 구워 만들어진 용기로 신석기시대부터 만들어져 사용되었다. 빗살무늬토기, 민무늬토기, 연질토기, 와질토기, 경질토기 등 다양한 종류의 토기들이 시대별로 만들어져 사용되었다. 이 심발형토기편은 아가리와 몸통부분 일부가 파손되었다.
유물번호 | 1390 |
---|---|
물질 | 토기류 |
소장경위 | 기증 |
소장년월일 | 2014-08-14 |
수량 | 1 |
토기는 진흙을 빚어 구워 만들어진 용기로 신석기시대부터 만들어져 사용되었다. 빗살무늬토기, 민무늬토기, 연질토기, 와질토기, 경질토기 등 다양한 종류의 토기들이 시대별로 만들어져 사용되었다. 이 심발형토기편은 아가리와 몸통부분 일부가 파손되었다.
번호 | 분류 | 제목 | 유물번호 | 물질 | 소장년월일 | 소장경위 |
---|---|---|---|---|---|---|
558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05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57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04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56 | 신라 |
토기뚜껑(유뉴)
![]() |
1403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55 | 신라 |
토기뚜껑(무뉴)
![]() |
1402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54 | 신라 |
토기뚜껑(무뉴)
![]() |
1401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53 | 신라 |
토기뚜껑(무뉴)
![]() |
1400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52 | 신라 |
토기뚜껑(무뉴)
![]() |
1399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51 | 신라 |
토기뚜껑(무뉴)
![]() |
1397, 1398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50 | 신라 |
토기뚜껑(무뉴)
![]() |
1396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49 | 백제 |
삼족기
![]() |
1395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48 | 백제 |
파배
![]() |
1394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47 | 백제 |
파배
![]() |
1393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46 | 신라 |
토기향완
![]() |
1392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45 | 신라 |
토기향완
![]() |
1391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 백제 |
심발형토기
![]() |
1390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43 | 백제 |
심발형토기
![]() |
1389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42 | 백제 |
완
![]() |
1388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41 | 백제 |
완
![]() |
1387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40 | 백제 |
완
![]() |
1386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539 | 백제 |
직구호
![]() |
1385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