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토기의 몸체 부분에서 떨어져 나온 파편이다. 한반도 전역에서 삼국시대부터 발견되고 있다. 연질토기를 감별하는 법은 손으로 긁어서 쉽게 흠집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정선된 바탕 흙을 사용하여 굽고 바탕 흙 안에는 굵은 석영 알갱이가 섞여 있기도 한다. 토기의 색깔은 노란갈색이 많다. 토기의 겉면은 물손질한 자국과 검게 그을린 자국이 남아 있다.
(충남대학교박물관에서 이관)
유물번호 | 1240 |
---|---|
물질 | 토기류 |
소장경위 | 기타 |
수량 | 1 |
일반적으로 토기의 몸체 부분에서 떨어져 나온 파편이다. 한반도 전역에서 삼국시대부터 발견되고 있다. 연질토기를 감별하는 법은 손으로 긁어서 쉽게 흠집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정선된 바탕 흙을 사용하여 굽고 바탕 흙 안에는 굵은 석영 알갱이가 섞여 있기도 한다. 토기의 색깔은 노란갈색이 많다. 토기의 겉면은 물손질한 자국과 검게 그을린 자국이 남아 있다.
(충남대학교박물관에서 이관)
번호 | 분류 | 제목 | 유물번호 | 물질 | 소장년월일 | 소장경위 |
---|---|---|---|---|---|---|
158 | 백제 | 토기손잡이 | 1236 | 토기류 | 기타 | |
157 | 백제 | 토기손잡이 | 1237 | 토기류 | 기타 | |
156 | 백제 | 토기손잡이 | 1238 | 토기류 | 기타 | |
155 | 백제 | 토기손잡이 | 1239 | 토기류 | 기타 | |
» | 백제 | 토기손잡이 | 1240 | 토기류 | 기타 | |
153 | 백제 | 토기손잡이 | 1241 | 토기류 | 기타 | |
152 | 백제 | 토기손잡이 | 1242 | 토기류 | 기타 | |
151 | 백제 | 시루편 | 1243 | 토기류 | 기타 | |
150 | 백제 | 시루편 | 1244 | 토기류 | 기타 | |
149 | 백제 | 시루편 | 1245 | 토기류 | 기타 | |
148 | 백제 | 시루편 | 1245 | 토기류 | 기타 | |
147 | 백제 | 시루편 | 1246 | 토기류 | 기타 | |
146 | 백제 | 벼루 | 1247 | 토도류 | 기타 | |
145 | 백제 | 벼루 | 1248 | 토도류 | 기타 | |
144 | 백제 | 벼루다리 | 1249 | 토도류 | 기타 | |
143 | 백제 | 벼루다리 | 1250 | 토도류 | 기타 | |
142 | 백제 | 벼루다리 | 1251 | 토도류 | 기타 | |
141 | 백제 | 그릇받침 | 1252 | 토기류 | 기타 | |
140 | 백제 | 그릇받침 | 1253 | 토기류 | 기타 | |
139 | 백제 | 그릇받침 | 1254 | 토기류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