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토기의 몸체 부분에서 떨어져 나온 파편이다. 한반도 전역에서 삼국시대부터 발견되고 있다. 연질토기를 감별하는 법은 손으로 긁어서 쉽게 흠집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정선된 바탕 흙을 사용하여 굽고 바탕 흙 안에는 굵은 석영 알갱이가 섞여 있기도 한다. 토기의 색깔은 노란갈색이 많다. 토기의 겉면은 물손질한 자국과 검게 그을린 자국이 남아 있다.
(충남대학교박물관에서 이관)
| 유물번호 | 1235 |
|---|---|
| 물질 | 토기류 |
| 소장경위 | 기타 |
| 수량 | 1 |
일반적으로 토기의 몸체 부분에서 떨어져 나온 파편이다. 한반도 전역에서 삼국시대부터 발견되고 있다. 연질토기를 감별하는 법은 손으로 긁어서 쉽게 흠집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정선된 바탕 흙을 사용하여 굽고 바탕 흙 안에는 굵은 석영 알갱이가 섞여 있기도 한다. 토기의 색깔은 노란갈색이 많다. 토기의 겉면은 물손질한 자국과 검게 그을린 자국이 남아 있다.
(충남대학교박물관에서 이관)
| 번호 | 분류 | 제목 | 유물번호 | 물질 | 소장년월일 | 소장경위 |
|---|---|---|---|---|---|---|
| 178 | 백제 |
치미편
|
1216 | 토도류 | 기타 | |
| 177 | 백제 |
치미편
|
1217 | 토도류 | 기타 | |
| 176 | 백제 |
치미편
|
1218 | 토도류 | 기타 | |
| 175 | 백제 |
전 편
|
1219 | 토도류 | 기타 | |
| 174 | 백제 |
전 편
|
1220 | 토도류 | 기타 | |
| 173 | 백제 |
전 편
|
1221 | 토도류 | 기타 | |
| 172 | 백제 |
전 편
|
1222 | 토도류 | 기타 | |
| 171 | 백제 |
전 편
|
1223 | 토도류 | 기타 | |
| 170 | 백제 |
전 편
|
1224 | 토도류 | 기타 | |
| 169 | 백제 |
뚜껑
|
1225 | 토도류 | 기타 | |
| 168 | 백제 |
항아리
|
1226 | 토도류 | 기타 | |
| 167 | 백제 |
자배기
|
1227 | 토도류 | 기타 | |
| 166 | 백제 |
뚜껑
|
1228 | 토도류 | 기타 | |
| 165 | 백제 |
뚜껑
|
1229 | 토도류 | 기타 | |
| 164 | 백제 |
세발토기
|
1230 | 토도류 | 기타 | |
| 163 | 백제 |
등잔
|
1231 | 토도류 | 기타 | |
| 162 | 백제 |
등잔
|
1232 | 토도류 | 기타 | |
| 161 | 백제 |
연가
|
1233 | 토도류 | 기타 | |
| 160 | 백제 |
연가
|
1234 | 토도류 | 기타 | |
| » | 백제 |
토기손잡이
|
1235 | 토기류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