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비궁소식

조회 수 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부여 나성의 축조방식 파악 가능한 중요자료 확보 / 현장공개 1.4.

부여군(군수 박정현)은 문화재청(청장 최응천)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부여 나성(북나성) 발굴조사에서 나성 성벽의 축성공법을 확인하고 1월 4일 오후 2시에 발굴현장을 공개한다.
* 발굴현장 :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432-3번지 일원 / 조사기관 : (재)백제역사문화연구원

부여 나성은 사비도성 북쪽과 동쪽의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부여 시가지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길이 6.6㎞의 성곽이다. 지난 2003년부터 올해까지 체계적인 발굴조사를 통해 성벽, 치, 문지, 건물지 등이 확인되어, 백제 사비도성의 경계와 방어체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 치(雉): 성벽 일부를 돌출시켜 적의 접근을 조기에 관찰하고 성벽에 접근한 적을 정면이나 측면에서 공격할 수 있는 시설물
* 문지(門址): 문이 있던 자리

이번 조사는 부여 나성의 북쪽(북나성)에서 부소산성과 이어지는 구간의 성벽 현황과 축조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2021년부터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북쪽 출입시설(북문지)과 상태가 양호한 약 60m의 성벽이 확인되었는데, 특히 부여 나성에서는 처음으로 성벽 안쪽(토축부)의 평면조사를 실시하여, 10개의 구역으로 구분된 성토의 흔적(규모 약 3.5~18.3m)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성토(盛土): 주변의 흙을 이용해 일정 높이까지 쌓아 올린 다음 마감 높이에서 두들겨 일정한 성벽 형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토성을 축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성벽 안쪽은 자연지형의 차이에 따라 각기 다른 성토방법을 사용하여 축조하였다. 청산성과 맞닿은 산 사면의 말단부는 기존의 기반층을 깎아내어 면석과 뒤채움석을 쌓아 올렸으며, 땅이 낮아 습한 평지는 석축부 단면이 사다리꼴이 되도록 조성한 후 석축부에서 안쪽을 향하여 성토하였다.
*면석: 탑의 기단 옆면을 막아낸 돌로, 기둥 사이의 벽체에 해당하는 부분
*뒤채움석: 쌓여진 돌 구조물의 뒷면을 채우는 돌로, 자갈․잡석․깬돌 등을 의미

각 성토 공정 구간을 이어 맞닿게 한 방식을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서로 교차하여 흙을 쌓고 중간에 돌을 이용하여 토류석으로 사용하거나 흙을 볼록하게 쌓아 토제 역할을 한 모습도 확인되었다, 또한 성벽 안쪽(토축부)에서 암반 및 점토 덩어리, 목탄(숯), 목주(나무기둥)가 확인되어 그 당시 성벽을 견고히 하기 위한 기술과 재료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 토류석(土留石): 지하 구조물을 만들 때 측면이 무너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돌
* 토제(土堤): 흙으로 쌓은 둑

이번 조사는 사비도성 북동쪽의 방어를 담당하는 북나성의 축조방식, 특히 가증천 제방(둑)에 연접한 성벽의 축조방법을 확인하여 백제의 우수한 토목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가증천: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송곡리에서 발원하여 정동리 금강으로 합류하는 지방하천

부여군은 문화재청 백제왕도핵심유적보존·관리사업추진단과 함께 이번 발굴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유적의 진정성 있는 정비와 관리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며, 부여 나성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지원하여 백제 사비도성의 본모습을 밝히고, 나아가 백제왕도의 실체를 복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 관련사진 : 북나성 발굴조사 관련 사진

부여 북나성에서 백제의 우수한 토목기술 확인 사진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6 새롭게 열리는 “신동엽 시인의 마을로 가는 길” 사비사랑 2020.12.16 83
265 초촌면, 6.25 및 베트남 참전유공자 추모제 거행 사비사랑 2023.11.22 86
264 뷰 맛집 외산 수리바위서 즐기는 ‘가을 낭만캠핑’ 사비사랑 2022.10.26 87
263 부여서동연꽃축제 최우수축제 되도록 민&관 역량 결집 사비사랑 2018.05.30 88
262 부여군-백제고도문화재단, ‘연꽃해설사 교육’ 수료식 사비사랑 2021.07.08 93
261 국립부여박물관,‘백제금동대향로의 선물, 힐링&치유’프로그램 운영 file 사비사랑 2020.07.22 95
260 부여군, 조선시대 분묘유적 조사결과 도서로 발간 file 사비사랑 2018.07.06 95
259 부여서동연꽃축제, 영자쌤과 함께하는 랜선 쿠킹클래스 진행 사비사랑 2021.07.08 95
258 부여 부소산성에서‘乙巳年(645년 추정)’명문 토기 출토 사비사랑 2020.12.16 96
257 세계유산 부소산에서 백제의 계백을 만나다 file 사비사랑 2020.08.24 97
256 부여군, 백제 夜 마실 가자 대성황 사비사랑 2021.07.08 97
255 부여군, 제64회 백제문화제 밑그림 윤곽 사비사랑 2018.05.30 98
254 부여 능산리 고분군, ‘부여 왕릉원’으로 명칭 바뀐다 사비사랑 2021.07.23 98
253 부여군, 무량사서 전통산사문화재 활용사업 추진 file 사비사랑 2018.09.12 99
252 부여군, 스마트 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관광 설명회 개최 사비사랑 2021.07.08 99
251 부여군, ‘용정리 상여소리 공개행사’ 개최 사비사랑 2022.10.14 99
250 천만송이 연꽃 만개한 부여로 오세요 사비사랑 2021.07.08 101
249 백제고도문화재단 문화상품의 트리플 크라운을 이루다 file 사비사랑 2018.01.19 102
248 부여군충남국악단, 내년 새로운 콘텐츠로 관객과 호흡 file 사비사랑 2018.01.19 103
247 부여 ‘굿뜨래 웰빙마을’에서 백제랑 놀자! file 사비사랑 2018.09.12 10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0 Next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