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연부가 넓으며 바닥이 좁은 분청대점이다. 구연부의 내면에는 물레흔이 확인되고 바닥에는 국화문이 빽빽하게 돌려져 있다. 문양의 분장기법은 조선초기 분청사기의 제작방법이었던 인화기법이 활용되었다. 꽃 모양의 도장을 찍는다고 해서 인화(印花)라 하였다. 인화문의 소재는 국화가 대부분으로 15세기 중반에 많이 활용되었다.
유물번호 | 1419 |
---|---|
물질 | 토기류 |
소장경위 | 기증 |
소장년월일 | 2014-08-14 |
수량 | 1 |
구연부가 넓으며 바닥이 좁은 분청대점이다. 구연부의 내면에는 물레흔이 확인되고 바닥에는 국화문이 빽빽하게 돌려져 있다. 문양의 분장기법은 조선초기 분청사기의 제작방법이었던 인화기법이 활용되었다. 꽃 모양의 도장을 찍는다고 해서 인화(印花)라 하였다. 인화문의 소재는 국화가 대부분으로 15세기 중반에 많이 활용되었다.
번호 | 분류 | 제목 | 유물번호 | 물질 | 소장년월일 | 소장경위 |
---|---|---|---|---|---|---|
13 | 근세 |
동전
![]() |
1284~1290 | 금속류 | 2010-09-01 | 기증 |
12 | 근세 |
지폐
![]() |
1283 | 지류 | 2010-09-01 | 기증 |
11 | 근세 |
지폐
![]() |
1282 | 지류 | 기증 | |
10 | 근세 |
지폐
![]() |
1281 | 지류 | 기증 | |
9 | 근세 |
무왕영정
![]() |
1270 | 지류 | 기타 | |
8 | 근세 |
성왕영정
![]() |
1269 | 지류 | 기타 | |
7 | 근세 |
사자루현판
![]() |
1268 | 목재류 | 기타 | |
6 | 근세 |
은산금공리산신도
![]() |
583 | 지류 | 2003-12-12 | 기탁 |
5 | 근세 |
동전
![]() |
576 | 금속류 | 2010-09-01 | 기증 |
4 | 근세 |
지폐
![]() |
575 | 지류 | 2010-09-01 | 기증 |
3 | 근세 |
먹통 이동주 기증유물
![]() |
573 | 목재류 | 2009-06-22 | 기증 |
2 | 근세 |
별신제 사진
![]() |
558 | 지류 | 2006-03-07 | 기증 |
1 | 근세 |
별신제 사진
![]() |
557 | 지류 | 2006-03-07 | 기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