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연부가 넓으며 바닥이 좁은 분청대점이다. 구연부의 내면에는 물레흔이 확인되고 바닥에는 국화문이 빽빽하게 돌려져 있다. 문양의 분장기법은 조선초기 분청사기의 제작방법이었던 인화기법이 활용되었다. 꽃 모양의 도장을 찍는다고 해서 인화(印花)라 하였다. 인화문의 소재는 국화가 대부분으로 15세기 중반에 많이 활용되었다.
| 유물번호 | 1419 | 
|---|---|
| 물질 | 토기류 | 
| 소장경위 | 기증 | 
| 소장년월일 | 2014-08-14 | 
| 수량 | 1 | 
구연부가 넓으며 바닥이 좁은 분청대점이다. 구연부의 내면에는 물레흔이 확인되고 바닥에는 국화문이 빽빽하게 돌려져 있다. 문양의 분장기법은 조선초기 분청사기의 제작방법이었던 인화기법이 활용되었다. 꽃 모양의 도장을 찍는다고 해서 인화(印花)라 하였다. 인화문의 소재는 국화가 대부분으로 15세기 중반에 많이 활용되었다.
| 번호 | 분류 | 제목 | 유물번호 | 물질 | 소장년월일 | 소장경위 | 
|---|---|---|---|---|---|---|
| 201 | 조선 | 가례원류시남집목각판 원본 | 1425,1426 | 목재류 | 2006-03-07 | 기탁 | 
| 200 | 조선 | 분청접시   | 1420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 | 조선 | 인화분청접시   | 1419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198 | 조선 | 가례원류시남집목각판 원본   | 1316~1324 | 목재류 | 기탁 | |
| 197 | 조선 | 우주두율   | 1315 | 지류 | 2011-02-10 | 기탁 | 
| 196 | 조선 | 주역대전   | 1314 | 지류 | 2011-02-10 | 기탁 | 
| 195 | 조선 | 금고실기   | 1312, 1313 | 지류 | 2008-01-05 | 기탁 | 
| 194 | 조선 | 목은 이색 문집, 부친 가정선생 문집   | 1294~1311 | 지류 | 2007-12-24 | 기탁 | 
| 193 | 조선 | 김현갑 교지   | 1293 | 지류 | 2013-04-10 | 기증 | 
| 192 | 조선 | 김태화 교지   | 1292 | 지류 | 기증 | |
| 191 | 조선 | 부여지   | 1291 | 지류 | 기증 | |
| 190 | 조선 | 석현서첩   | 1098 | 지류 | 2011-02-10 | 기탁 | 
| 189 | 조선 | 장릉지   | 1097 | 지류 | 2011-02-10 | 기탁 | 
| 188 | 조선 | 산독   | 1096 | 지류 | 2011-02-10 | 기탁 | 
| 187 | 조선 | 우주두율   | 1095 | 지류 | 2011-02-10 | 기탁 | 
| 186 | 조선 | 효경   | 1094 | 지류 | 2011-02-10 | 기탁 | 
| 185 | 조선 | 문헌서원 시종   | 1093 | 지류 | 2011-02-10 | 기탁 | 
| 184 | 조선 | 주역대전   | 1092 | 지류 | 2011-02-10 | 기탁 | 
| 183 | 조선 | 백자병   | 1091 | 자기류 | 2011-02-10 | 기탁 | 
| 182 | 조선 | 부여 천진전 단군화상   | 1089 | 지류 | 2008-06-13 | 기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