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청색 경질의 편병이다. 원형계통의 몸체 한쪽을 납작하게 찌그러뜨린 것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유적에서 이와 유사한 편병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정확한 제작자의 의도는 알 수 없지만 어떤 목적 하에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라 추정된다. 구연부가 일부 결실되었으며 동체에서 기포현상이 발견된다.
| 유물번호 | 1422 |
|---|---|
| 물질 | 토기류 |
| 소장경위 | 기증 |
| 소장년월일 | 2014-08-14 |
| 수량 | 1 |
회청색 경질의 편병이다. 원형계통의 몸체 한쪽을 납작하게 찌그러뜨린 것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유적에서 이와 유사한 편병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정확한 제작자의 의도는 알 수 없지만 어떤 목적 하에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라 추정된다. 구연부가 일부 결실되었으며 동체에서 기포현상이 발견된다.
| 번호 | 분류 | 제목 | 유물번호 | 물질 | 소장년월일 | 소장경위 |
|---|---|---|---|---|---|---|
| 79 | 고려 |
청자병
|
1424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78 | 고려 |
토제정병
|
1423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 | 고려 |
토기편병
|
1422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76 | 고려 |
토기편병
|
1421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75 | 고려 |
기름병
|
1418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74 | 고려 |
기름병
|
1417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73 | 고려 |
기름병
|
1416 | 토기류 | 2014-08-14 | 기증 |
| 72 | 고려 |
항아리
|
1257 | 토기류 | 기타 | |
| 71 | 고려 |
청자뚜껑
|
1166 | 자기류 | 기타 | |
| 70 | 고려 |
청자뚜껑
|
1165 | 자기류 | 기타 | |
| 69 | 고려 |
청자뚜껑
|
1164 | 자기류 | 기타 | |
| 68 | 고려 |
청자뚜껑
|
1163 | 자기류 | 기타 | |
| 67 | 고려 |
청자뚜껑
|
1162 | 자기류 | 기타 | |
| 66 | 고려 |
청자완
|
1161 | 자기류 | 기타 | |
| 65 | 고려 |
청자완
|
1160 | 자기류 | 기타 | |
| 64 | 고려 |
청자양인각당초문접시
|
1159 | 자기류 | 기타 | |
| 63 | 고려 |
청자양인각당초문접시
|
1158 | 자기류 | 기타 | |
| 62 | 고려 |
청자양인각당초문접시
|
1157 | 자기류 | 기타 | |
| 61 | 고려 |
청자양인각당초문접시
|
1156 | 자기류 | 기타 | |
| 60 | 고려 |
청자양인각당초문접시
|
1156 | 자기류 | 기타 |